반응형
🔌 전기이론 핵심 키워드 30선 (출제비중 높은 항목 중심)
- 전압(Voltage)
전위를 나타내는 값으로,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전기의 압력입니다. 단위는 V(볼트)이며, 전기회로의 기본이 되는 개념입니다. - 전류(Current)
전자의 흐름을 의미하며, 단위는 A(암페어)입니다. 전기회로에서 흐르는 전기의 양을 나타냅니다. - 저항(Resistance)
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성질을 나타내며 단위는 Ω(옴)입니다. 옴의 법칙의 핵심 요소입니다. - 옴의 법칙(Ohm's Law)
V=IR 공식으로, 전압(V)은 전류(I)와 저항(R)의 곱이라는 법칙입니다. 문제 풀이의 기초 공식입니다. - 전력(Power)
전기가 하는 일의 양으로, 단위는 W(와트)입니다. 공식은 P=VI, P=I²R, P=V²/R 등이 있습니다. - 직류(DC)
한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로, 건전지나 배터리 등의 전원이 공급하는 형태입니다. - 교류(AC)
전류의 방향이 주기적으로 바뀌는 전류입니다. 한국의 경우 주파수는 60Hz입니다. - 주파수(Frequency)
전류의 방향이 1초에 바뀌는 횟수로, 단위는 Hz(헤르츠)입니다. 교류의 특징을 파악할 때 중요합니다. - 임피던스(Impedance)
교류 회로에서 전류 흐름을 방해하는 종합 저항입니다. 저항, 유도 리액턴스, 용량 리액턴스의 벡터 합입니다. - 리액턴스(Reactance)
인덕터나 커패시터가 교류 회로에서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성분으로, 유도 리액턴스(XL)와 용량 리액턴스(XC)가 있습니다. - 커패시터(Capacitor)
전기를 저장하는 부품으로, 단위는 F(패럿)입니다.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며 회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 - 인덕터(Inductor)
자기장을 이용해 전기를 저장하는 소자이며, 단위는 H(헨리)입니다. 유도 작용으로 리액턴스를 형성합니다. - 키르히호프의 법칙(Kirchhoff’s Laws)
전류 법칙(KCL)과 전압 법칙(KVL)이 있으며, 회로 해석의 기본입니다. - 전기용량(Capacitance)
전하를 저장할 수 있는 능력으로, 전압에 따라 변화합니다. - 정전용량
커패시터에 저장되는 전하의 양과 관련된 용량으로, 커패시터의 구조와 재질에 따라 달라집니다. - 자기유도(Self Inductance)
자기장이 변화할 때 자기 자신에게 유도 전압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. - 상호유도(Mutual Inductance)
두 개의 코일이 있을 때, 한쪽 코일의 전류 변화로 다른 코일에 유도 전압이 생기는 현상입니다. - 전류의 열작용
전류가 흐르면서 발생하는 열에너지로, P=I²R의 공식으로 표현됩니다. 전기 난방 기기의 원리입니다. - 전류의 자기작용
전류가 흐르면 자기장이 발생하는 성질로, 전자석의 원리입니다. - 전기회로 해석
직렬 회로, 병렬 회로, 혼합 회로 해석을 포함하며, 회로도 분석 능력이 요구됩니다. - 교류 파형(정현파)
교류 전압이나 전류의 변화를 시간에 따라 그린 그래프이며, 진폭, 주기, 주파수를 포함합니다. - 실효값(RMS)
교류 전압 또는 전류의 효과적인 값으로, 직류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값입니다. 일반적으로 V실효값 = V최대값 / √2 입니다. - 평균값
정현파의 반주기 평균이며, 실효값과는 구별됩니다. - 위상차(Phase Difference)
두 개의 교류 전압 또는 전류 사이의 시간 차이 또는 각도 차이입니다. - 전기 에너지(Energy)
전력을 시간과 곱한 값으로, 단위는 Wh 또는 kWh입니다. 실제 전기 요금 계산에 사용됩니다. - 전자력
전기와 자기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하는 힘입니다. 전동기의 기본 원리입니다. - 유효전력(P)
교류 회로에서 실제로 일하는 전력으로, P=VIcosθ 로 표현됩니다. - 무효전력(Q)
교류 회로에서 일하지 않고 왕복하는 전력으로, Q=VIsinθ 입니다. 전력 계통의 손실 원인입니다. - 피상전력(S)
전체 전력으로,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의 합성 값입니다. S=VI 로 표현됩니다. - 역률(Power Factor)
유효전력과 피상전력의 비율로, cosθ로 표현됩니다. 역률이 낮으면 전력 낭비가 큽니다.